Post-Maintenance Feedback and Follow-up
After maintenance or a repair has been completed, the user or department provides feedback on the service, and the maintenance team may follow up to ensure the issue is fully resolved and satisfactory.
유지보수나 수리가 완료된 후, 사용자 또는 부서가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유지보수 팀은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고 만족스러운지 확인하기 위해 후속 조치를 할 수 있습니다.
대화
대화를 듣고 따라가세요
어휘
대화에 나오는 필수 단어 및 구문
checking in
This phrasal verb means to contact someone briefly to get an update or see how things are going. It's useful in professional follow-ups, like after a service.
이 구동사(phrasal verb)는 누군가에게 짧게 연락하여 업데이트를 받거나 상황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서비스 후와 같은 전문적인 후속 조치에 유용합니다.
following up
This means to continue checking on something after an initial action, such as after a repair. It's common in customer service to ensure satisfaction.
초기 행동 후에 무언가를 계속 확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수리 후에요. 고객 서비스에서 만족도를 보장하기 위해 흔히 사용됩니다.
flickering
This describes a light or screen that flashes on and off quickly and irregularly. In technical contexts, it often refers to display problems in devices like projectors.
이것은 빛이나 화면이 빠르고 불규칙하게 켜지고 꺼지는 것을 설명합니다. 기술적 맥락에서 이는 종종 프로젝터 같은 장치의 디스플레이 문제에 지칭됩니다.
diagnosed
This verb means to identify the cause of a problem, especially in medical or technical situations. Use it when talking about troubleshooting equipment issues.
이 동사는 문제의 원인을 식별하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의료 또는 기술적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장비 문제의 문제 해결에 대해 이야기할 때 사용하세요.
sorted
Informal British English for 'fixed' or 'resolved.' It's practical in casual professional talks about completing repairs quickly.
비공식 영국 영어로 'fixed' 또는 'resolved'를 의미합니다. 수리를 빠르게 완료하는 것에 대한 캐주얼한 전문 대화에서 실용적입니다.
tips
Short for 'advice' or 'helpful suggestions.' In maintenance, it refers to practical ideas to avoid future problems, like cleaning routines.
'조언' 또는 '도움이 되는 제안'의 약어. 유지보수에서 미래 문제를 피하기 위한 실용적인 아이디어, 예를 들어 청소 루틴을 가리킵니다.
prompt
Meaning quick and on time. Use it to describe efficient service, as in 'prompt service' to show appreciation in feedback.
신속하고 제때를 의미합니다. 효율적인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세요. 예를 들어 'prompt service'를 피드백에서 감사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pop up
This phrasal verb means problems that suddenly appear or occur unexpectedly. It's useful for warning about potential future issues in technical support.
이 구동사는 갑자기 나타나거나 예상치 못하게 발생하는 문제를 의미합니다. 기술 지원에서 잠재적인 미래 문제를 경고하는 데 유용합니다.
핵심 문장
기억하고 연습해야 할 중요한 구문
Hi John, just checking in about the projector repair. How's it been working since you guys fixed it last week?
This is a polite way to start a follow-up conversation. 'Checking in' shows care, and the question uses present perfect continuous ('has been working') to ask about ongoing performance since a past event. Use it after services to gather feedback.
이것은 후속 대화를 시작하는 예의 바른 방법입니다. 'Checking in'은 관심을 나타내고, 질문은 과거 사건 이후의 지속적인 성능을 묻기 위해 현재 완료 진행형('has been working')을 사용합니다. 서비스 후 피드백을 수집하기 위해 사용하세요.
Thanks for following up! It's been working perfectly, actually.
This expresses gratitude and positive update. 'Following up' is key for service contexts, and 'actually' adds emphasis to surprise or confirmation. It's useful for responding positively in professional emails or calls.
이는 감사의 표현과 긍정적인 업데이트를 나타냅니다. '후속 조치'는 서비스 맥락에서 핵심이며, '실제로'는 놀라움이나 확인에 강조를 더합니다. 전문 이메일이나 통화에서 긍정적으로 응답할 때 유용합니다.
We suspected it was just a loose internal connection, so glad that was the fix.
This shares a suspected cause and relief. 'Suspected' uses past tense for prior thoughts, and 'so glad' is a common expression of happiness. Practice this to explain technical suspicions in reports or discussions.
이것은 의심되는 원인과 안도감을 공유합니다. 'Suspected'는 이전 생각을 나타내는 과거형이고, 'so glad'는 행복을 표현하는 흔한 표현입니다. 보고서나 토론에서 기술적 의심을 설명하기 위해 이것을 연습하세요.
He arrived on time, diagnosed the issue quickly, and had it sorted within an hour.
This lists actions in sequence using past simple tense. It's a clear way to describe efficient service. Use parallel structure (arrived, diagnosed, had it sorted) to praise technicians in feedback.
이것은 과거 단순 시제를 사용하여 행동을 순서대로 나열합니다. 효율적인 서비스를 설명하는 명확한 방법입니다. 피드백에서 기술자를 칭찬하기 위해 병렬 구조(arrived, diagnosed, had it sorted)를 사용하세요.
He even gave us some tips on regular cleaning to prevent future dust build-up.
This highlights extra help. 'Even' emphasizes something additional, and 'to prevent' shows purpose. It's practical for sharing preventive advice in maintenance conversations.
이것은 추가 도움을 강조합니다. 'Even'은 추가적인 것을 강조하고, 'to prevent'는 목적을 보여줍니다. 유지보수 대화에서 예방 조언을 공유하는 데 실용적입니다.
Is there anything else we can assist you with regarding your equipment at the moment?
This offers further help politely. 'Assist you with' is formal service language, and 'at the moment' specifies now. Use it to end interactions by checking for more needs.
이는 예의 바르게 추가 도움을 제안합니다. 'Assist you with'는 공식적인 서비스 언어이며, 'at the moment'는 지금을 지정합니다. 추가 필요를 확인하여 상호작용을 종료하는 데 사용하세요.
Don't hesitate to reach out if any other issues pop up.
This encourages future contact. 'Don't hesitate' means 'feel free,' and 'reach out' is a modern way to say 'contact.' 'Pop up' describes sudden problems. Ideal for closing support calls.
이것은 미래의 연락을 장려합니다. 'Don't hesitate'는 'feel free'라는 의미이고, 'reach out'는 'contact'의 현대적인 표현입니다. 'Pop up'은 갑작스러운 문제를 묘사합니다. 지원 통화 종료에 이상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