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으로 돌아가기

Addressing Multilingual Communication Issues in an Organization

조직 내 다국어 커뮤니케이션 문제 해결

A human resources manager discusses challenges and solution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mong diverse employees who speak different native languages within a multinational corporation.

인사 관리자가 다국적 기업 내에서 서로 다른 모국어를 사용하는 다양한 직원들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도전과 해결책에 대해 논의한다.

대화

대화를 듣고 따라가세요

1
Sarah (Female)
Hi John, thanks for meeting with me. I wanted to discuss the ongoing challenges we're facing with multilingual communication across our global offices.
안녕하세요 존, 만나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 글로벌 사무소에서 다국어 커뮤니케이션으로 겪고 있는 지속적인 도전 과제에 대해 논의하고 싶었습니다.
2
John (Male)
Of course, Sarah. It's definitely a pressing issue. I've noticed delays in project timelines and some misunderstandings cropping up due to language barriers, especially between the engineering teams in Berlin and the marketing department here.
물론이요, 사라. 이건 확실히 시급한 문제예요. 프로젝트 타임라인에 지연이 발생하고, 언어 장벽으로 인한 오해가 생기고 있다는 걸 알았어요. 특히 베를린의 엔지니어링 팀과 여기 마케팅 부서 사이에서요.
3
Sarah (Female)
Exactly. Some employees also feel less included in broader company discussions because English isn't their first language, even when they're proficient. It impacts team cohesion.
맞아요. 일부 직원들도 영어가 모국어가 아니기 때문에, 영어가 유창하더라도 회사 전체의 더 넓은 토론에 덜 포함된다고 느낍니다. 이는 팀 결속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4
John (Male)
That's a valid point. Have we considered implementing more structured language training, perhaps even for specific business jargon, not just general English proficiency?
그건 타당한 지적입니다. 더 구조화된 언어 훈련을 도입하는 것을 고려해 봤나요? 특정 비즈니스 용어에 대한 것도, 일반 영어 숙련도뿐만 아니라.
5
Sarah (Female)
We have. And beyond training, I'm thinking about leveraging technology more. Tools for real-time translation during virtual meetings could be a game-changer. Also, perhaps a 'buddy system' where native speakers can support non-native colleagues.
우리는 이미 했습니다. 교육 외에도 기술을 더 활용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가상 회의 중 실시간 번역 도구는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원어민이 비원어민 동료를 지원하는 '버디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도 어떨까요.
6
John (Male)
A 'buddy system' sounds promising for cultural adaptation as well. As for translation tools, we'd need to vet them carefully for accuracy and data security. But the potential time savings and improved clarity are huge.
'버디 시스템'은 문화 적응에도 유망하게 들립니다. 번역 도구에 관해서는 정확성과 데이터 보안을 위해 신중하게 검토해야 합니다. 하지만 잠재적인 시간 절약과 명확성 향상은 매우 큽니다.
7
Sarah (Female)
Absolutely. I'll research some suitable platforms. Additionally, fostering an environment where employees feel comfortable asking for clarification without judgment is key. Maybe even encourage multilingual communication in internal announcements when possible.
물론입니다. 적합한 플랫폼을 몇 가지 조사해 보겠습니다. 또한, 직원들이 판단받지 않고 명확한 설명을 요청할 수 있는 편안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가능할 때 내부 공지에서 다국어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는 것도 좋을 수 있습니다.
8
John (Male)
That's a great approach – promoting a culture of empathy and understanding. Let's draft a proposal outlining these strategies and present it to leadership. I think these solutions could significantly enhance our internal communication.
그건 훌륭한 접근법이에요 – 공감과 이해의 문화를 촉진하는 거죠. 이러한 전략을 개요한 제안을 작성해서 리더십에게 제출합시다. 이 해결책들은 우리 내부 커뮤니케이션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
9
Sarah (Female)
Sounds like a plan. I'll get started on it right away. Thanks for your input, John.
좋은 계획 같아요. 바로 시작할게요. 의견 감사합니다, 존.
10
John (Male)
You're welcome, Sarah. Let's keep this conversation going as we develop the plan.
천만에요, 사라. 계획을 개발하는 동안 이 대화를 계속 이어가요.

어휘

대화에 나오는 필수 단어 및 구문

multilingual

This means involving or using several languages. In business, it's common in global companies with employees from different countries.

이것은 여러 언어를 포함하거나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즈니스에서는 다른 나라 출신 직원이 있는 글로벌 회사에서 흔합니다.

communication

The act of sharing information between people. In this context, it refers to how teams talk and share ideas across languages.

사람들 사이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행위. 이 맥락에서는 팀이 언어를 넘어 어떻게 대화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는지를 가리킵니다.

challenges

Difficulties or problems. Here, it describes issues in working together due to language differences.

어려움 또는 문제. 여기서는 언어 차이로 인한 협업 문제.

language barriers

Obstacles caused by speaking different languages that make understanding hard. It's a common term in international workplaces.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장애물로, 이해를 어렵게 만듭니다. 국제적인 직장 환경에서 흔히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proficient

Very skilled or good at something, like speaking a language well but not perfectly. Use it to describe someone's ability level.

어떤 일에 매우 능숙하거나 잘하는 것, 예를 들어 언어를 잘하지만 완벽하지 않게 말하는 것처럼. 누군가의 능력 수준을 설명할 때 사용하세요.

team cohesion

How well team members stick together and work as a unit. Poor communication can affect this in diverse teams.

팀 구성원이 얼마나 잘 함께 붙어 있고 단위로 일하는지. 다양성이 있는 팀에서 의사소통이 부족하면 이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jargon

Special words used in a particular job or field, like business terms. Training in jargon helps non-native speakers.

특정 직업이나 분야에서 사용되는 특별한 단어들, 예를 들어 비즈니스 용어. 전문 용어 훈련은 비원어민에게 도움이 됩니다.

game-changer

Something that completely changes a situation for the better. It's informal and used to show excitement about a new idea.

상황을 완전히 더 나은 방향으로 바꾸는 것. 비공식적이며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흥분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buddy system

A pairing of people to help each other, like a mentor setup. In work, it supports new or non-native employees.

서로를 돕기 위해 사람들을 짝짓는 시스템으로, 멘토링 설정과 유사합니다. 직장에서 새로운 직원이나 비원어민 직원을 지원합니다.

empathy

Understanding and sharing the feelings of others. Promoting empathy helps create a supportive work environment.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유하는 것. 공감을 촉진하면 지지적인 작업 환경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핵심 문장

기억하고 연습해야 할 중요한 구문

It's definitely a pressing issue.

This sentence uses 'pressing' to mean urgent. It's useful in professional discussions to emphasize importance. The structure 'It + be + definitely + adjective + noun' adds certainty.

이 문장은 'pressing'을 긴급한 의미로 사용합니다. 전문적인 토론에서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유용합니다. 'It + be + definitely + 형용사 + 명사' 구조는 확실성을 더합니다.

I've noticed delays in project timelines and some misunderstandings cropping up due to language barriers.

This shows past observations with 'I've noticed' (present perfect). 'Cropping up' is an idiom meaning appearing suddenly. Useful for describing work problems caused by external factors.

이것은 'I've noticed' (현재완료형)를 사용한 과거 관찰을 보여줍니다. 'Cropping up'은 갑자기 나타난다는 관용 표현입니다. 외부 요인으로 인한 업무 문제를 설명하는 데 유용합니다.

It impacts team cohesion.

A simple way to say something affects a group negatively. 'Impacts' is formal for 'affects.' Use this in business talks about team dynamics.

무언가가 그룹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말하는 간단한 방법입니다. 'Impacts'는 'affects'의 형식적인 표현입니다. 팀 역학에 대한 비즈니스 토론에서 이것을 사용하세요.

Have we considered implementing more structured language training?

This is a polite question suggesting an idea with 'Have we considered' (present perfect). 'Implementing' means putting into action. Great for meetings to propose solutions.

이것은 'Have we considered' (현재완료)로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예의 바른 질문입니다. 'Implementing'은 실행에 옮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솔루션을 제안하기 위한 회의에 좋습니다.

Tools for real-time translation during virtual meetings could be a game-changer.

Uses conditional 'could be' for possibility. 'Real-time' means happening immediately. This sentence expresses optimism about technology in remote work.

가능성을 나타내기 위해 조건법 'could be'를 사용한다. 'Real-time'은 즉시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문장은 원격 작업에서의 기술에 대한 낙관을 표현한다.

A 'buddy system' sounds promising for cultural adaptation as well.

'Sounds promising' means seems like a good idea. 'As well' adds another benefit. Useful for agreeing and extending ideas in discussions.

‘유망하게 들린다’는 ‘좋은 아이디어처럼 보인다’는 의미입니다. ‘As well’은 또 다른 이점을 추가합니다. 토론에서 아이디어를 동의하고 확장하는 데 유용합니다.

Fostering an environment where employees feel comfortable asking for clarification without judgment is key.

'Fostering' means encouraging or promoting. This complex sentence with 'where' clause explains creating a supportive space. Key for HR or team-building talks.

'Fostering'는 장려하거나 촉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where' 절이 포함된 이 복잡한 문장은 지지적인 공간을 만드는 것을 설명합니다. HR이나 팀 빌딩 토론에 중요합니다.

Let's draft a proposal outlining these strategies and present it to leadership.

'Let's' suggests a joint action. 'Outlining' means summarizing. This is a call to action in meetings, showing next steps.

'Let's'는 공동 행동을 제안합니다. 'Outlining'은 요약을 의미합니다. 이는 회의에서 행동을 촉구하는 것으로, 다음 단계를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