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으로 돌아가기

Discussing Budget & Practicalities

예산 및 실무 사항 논의

Roommates consider the cost implications of suggested activities, discuss transportation, and other logistical details.

룸메이트들은 제안된 활동의 비용 영향을 고려하고, 교통과 다른 물류 세부 사항을 논의한다.

대화

대화를 듣고 따라가세요

1
Sarah (Female)
So, about the escape room idea for Saturday, it sounds fun, but have we thought about the cost? I heard they can be a bit pricey.
그래서, 토요일 탈출방 아이디어 말인데, 재미있을 것 같아. 그런데 비용은 생각해 봤어? 들은 바로는 좀 비쌀 수 있대.
2
John (Male)
That's a good point, Sarah. I checked online, and it's about $35 per person. We also need to factor in transportation. It's a bit far from here, so we'd probably need to take an Uber or split gas if someone drives.
좋은 지적이네요, Sarah. 온라인으로 확인해봤는데, 1인당 약 35달러예요. 교통비도 고려해야 해요. 여기서 좀 멀어서, 우버를 타거나 누군가 운전하면 기름값을 나누는 식으로 할 것 같아요.
3
Emily (Female)
Hmm, $35 plus transportation... that adds up. What if we did something more affordable around here, like that mini-golf place? Or just a picnic in the park?
음, 35달러에 교통비… 그게 꽤 되네. 여기 근처에서 더 저렴한 걸 해보면 어떨까, 예를 들어 그 미니골프 장소? 아니면 그냥 공원에서 피크닉?
4
Michael (Male)
Mini-golf isn't a bad idea, it's usually pretty cheap, maybe $10-$15. And it's walkable. A picnic is even cheaper if we just split the cost of some food.
미니 골프는 나쁜 아이디어가 아니야, 보통 꽤 저렴해, 아마 10-15달러쯤. 그리고 걸어서 갈 수 있어. 피크닉은 더 저렴할 거야, 음식 비용만 나누면.
5
Sarah (Female)
I'm open to anything that doesn't break the bank. My budget's a bit tight this month. How do others feel about a picnic or mini-golf instead of the escape room?
돈이 너무 많이 들지 않는 거라면 뭐든 좋아요. 이번 달 예산이 좀 타이트해요. 다른 사람들은 피크닉이나 미니골프는 어때요, 에스케이프 룸 대신에?
6
John (Male)
I'm fine with adjusting our plans. I was looking forward to the escape room, but convenience and cost are definitely factors. We could always do it another time when everyone's budget is a bit more flexible.
계획 조정하는 건 괜찮아요. 에스케이프 룸 기대하고 있었는데, 편의성과 비용이 확실히 고려해야 할 부분이에요. 모두의 예산이 조금 더 유연할 때 다른 때에 할 수 있어요.
7
Emily (Female)
Agreed. For a picnic, we could each bring a dish to share, or we could just chip in for pizza and grab some drinks. Super low effort, low cost.
동의해. 피크닉이면 각자 한 가지 요리 가져와서 나누거나, 피자에 돈 모아서 음료수 좀 사는 거로. 초저노력, 저비용.
8
Michael (Male)
Sounds good to me. So, mini-golf or picnic? We'd still need to check the weather for the picnic, obviously.
나한테는 괜찮아. 그러니까, 미니골프나 피크닉? 피크닉이면 당연히 날씨를 확인해야 해.

어휘

대화에 나오는 필수 단어 및 구문

pricey

Means expensive or costing a lot of money. Use it when talking about things that are not cheap, like 'That restaurant is too pricey for me.'

비용이 많이 들거나 비싼 것을 의미합니다. 값이 싼 것이 아닌 것들에 대해 사용할 때, 예를 들어 '그 레스토랑은 나에게 너무 비싸.'

factor in

To include something as part of your calculations or plans, like costs or time. For example, 'We need to factor in the travel time.' It's useful for practical discussions.

뭔가를 계산이나 계획의 일부로 포함하는 것, 비용이나 시간처럼. 예를 들어, '여행 시간을 고려에 포함시켜야 해.' 실용적인 논의에 유용하다.

adds up

Means the total amount becomes significant when you combine costs. Say it like 'The bills add up quickly' when expenses accumulate.

비용을 합치면 총액이 상당해집니다. 지출이 쌓일 때 'The bills add up quickly'처럼 말할 수 있습니다.

affordable

Something that you can pay for without spending too much. Use it to suggest budget-friendly options, e.g., 'This hotel is affordable.'

너무 많은 돈을 쓰지 않고 지불할 수 있는 것. 예산에 맞는 옵션을 제안할 때 사용하세요. 예: '이 호텔은 저렴합니다.'

break the bank

An idiom meaning to cost too much money. It's casual; say 'It won't break the bank' to mean it's not expensive.

돈이 너무 많이 든다는 의미의 관용어입니다. 캐주얼한 표현으로, 'It won't break the bank'이라고 하면 비싸지 않다는 뜻입니다.

chip in

To contribute a small amount of money towards something shared. Common in group plans, like 'Let's all chip in for the pizza.'

공유되는 것에 소액의 돈을 기여하는 것. 그룹 계획에서 흔하며, 예를 들어 '피자 값에 모두 분담하자.'

convenience

The quality of being easy and practical, not requiring much effort. Use it in planning, e.g., 'Location is important for convenience.'

쉽고 실용적인 상태의 질,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음. 계획 수립 시 사용하세요. 예: '위치가 편의를 위해 중요하다.'

split

To divide costs equally among people. Practical for roommates, like 'Let's split the bill.'

사람들 사이에 비용을 균등하게 나누는 것. 룸메이트들에게 실용적, 예를 들어 '비용을 나누자.'

핵심 문장

기억하고 연습해야 할 중요한 구문

have we thought about the cost?

This is a polite way to raise a concern about money in group planning. Use questions like this to discuss practical issues. It's a yes/no question starting with 'have we' for shared consideration.

이것은 그룹 계획에서 돈에 대한 우려를 정중하게 제기하는 방법입니다. 이와 같은 질문을 사용하여 실질적인 문제를 논의하세요. 'have we'로 시작하는 예/아니오 질문으로 공유된 고려를 위해 사용합니다.

We also need to factor in transportation.

Useful for reminding others to include extra costs. 'Factor in' is a phrasal verb; use it in discussions about budgets to sound natural and practical.

다른 사람들에게 추가 비용을 포함하도록 상기시키는 데 유용합니다. 'Factor in'은 구동사입니다; 예산 논의에서 자연스럽고 실용적으로 들리도록 사용하세요.

that adds up.

A simple expression to show that costs are becoming too high. It's informal and common in everyday talks about money; helps express concern without being direct.

비용이 너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간단한 표현입니다. 비공식적이며 돈에 대한 일상 대화에서 흔히 사용되며, 직접적이지 않게 우려를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What if we did something more affordable around here?

This suggests an alternative idea using 'What if' for proposals. Great for negotiating plans; the conditional 'did' makes it hypothetical and polite.

이것은 제안을 위해 'What if'를 사용하는 대안 아이디어를 제안합니다. 계획을 협상할 때 훌륭합니다. 조건법 'did'가 가정적이고 예의 바르게 만듭니다.

I'm open to anything that doesn't break the bank.

Shows flexibility in plans while mentioning budget limits. 'Open to' means willing; the idiom 'break the bank' adds casual tone for friends discussing costs.

계획의 유연성을 보여주면서 예산 제한을 언급합니다. 'Open to'는 '받아들이다'라는 의미로, 관용어 'break the bank'는 친구들끼리 비용을 논할 때의 캐주얼한 톤을 더합니다.

We could each bring a dish to share, or we could just chip in for pizza.

Offers options using 'could' for suggestions. 'Chip in' means contribute; this structure is useful for low-cost group activities, showing coordination.

'could'를 사용하여 제안을 위한 옵션을 제공합니다. 'Chip in'은 기여를 의미합니다; 이 구조는 저비용 그룹 활동에 유용하며, 조정을 보여줍니다.

We'd still need to check the weather for the picnic, obviously.

Points out a practical detail with 'obviously' for emphasis. 'We'd' is short for 'we would'; use in planning to cover all bases like weather or logistics.

'당연히'로 강조하며 실용적인 세부 사항을 지적한다. 'We'd'는 'we would'의 약어; 계획에서 날씨나 물류 같은 모든 기반을 다루기 위해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