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으로 돌아가기

Articulating Feelings (Using 'I' Statements)

감정 표현하기 ('나' 진술 사용하기)

One person expresses their feelings or perceptions about the situation using 'I' statements, focusing on their own experience rather than accusing the other, to avoid defensiveness.

한 사람이 '나' 문장을 사용해 상황에 대한 자신의 감정이나 인식을 표현하며, 자신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고 상대를 비난하지 않음으로써 방어적인 태도를 피한다.

대화

대화를 듣고 따라가세요

1
Sarah (Female)
Hey John, do you have a moment? I just wanted to chat about something.
헤이 존, 잠깐 시간 돼? 그냥 뭐 좀 얘기하고 싶어서.
2
John (Male)
Yeah, of course, Sarah. What's up?
네, 물론이야, 사라. 무슨 일이야?
3
Sarah (Female)
Well, I felt a bit left out yesterday when you guys made plans for dinner without mentioning it to me directly. I know it wasn't intentional, but I just felt a little forgotten.
음, 어제 여러분들이 저에게 직접 말하지 않고 저녁 식사 계획을 세웠을 때, 제가 좀 소외된 기분이 들었어요. 의도한 건 아니라는 거 알아요, 하지만 그냥 조금 잊힌 기분이 들었어요.
4
John (Male)
Oh, Sarah, I'm really sorry to hear that. I honestly didn't think about it that way. I just assumed you knew from our group chat.
오, 사라, 그 소리 듣고 정말 미안해. 솔직히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어. 그냥 그룹 채팅에서 알 거라고 생각했어.
5
Sarah (Female)
I understand you assumed that. I think for me, I just missed that personal invitation or confirmation, you know?
그렇게 생각하신 거 이해해요. 저는 그냥 그 개인적인 초대나 확인을 놓친 것 같아요, 알죠?
6
John (Male)
Yeah, I totally get that now. I can see how that would make you feel overlooked. My bad. Next time, I'll definitely make sure to reach out to you directly.
응, 이제 완전히 이해했어. 그게 당신을 무시당한 기분으로 만들 수 있다는 걸 알겠어. 내 잘못이야. 다음에는 확실히 직접 연락할게.
7
Sarah (Female)
Thanks, John. I appreciate you understanding. It makes a big difference to me.
감사합니다, 존. 이해해 주셔서 감사해요. 이게 저에게 큰 의미가 있어요.
8
John (Male)
No problem at all, Sarah. I'm glad you brought it up. Our friendship is important to me.
전혀 문제없어, 사라. 네가 말해줘서 다행이야. 우리 우정은 나에게 중요해.

어휘

대화에 나오는 필수 단어 및 구문

left out

Feeling excluded or not included in something, like plans or activities with friends.

친구들과의 계획이나 활동 등에서 제외되거나 포함되지 않아서 배제된 느낌이 들 때.

intentional

Done on purpose; the opposite is 'unintentional' or accidental.

의도적으로 한 것; 반대는 '비의도적' 또는 우발적이다.

assumed

To think something is true without checking or confirming; often used when making a wrong guess.

확인하거나 확인하지 않고 무언가가 참이라고 생각하는 것; 종종 잘못된 추측을 할 때 사용됩니다.

overlooked

To fail to notice or consider something important, like someone's feelings.

중요한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거나 고려하지 못하는 것, 예를 들어 누군가의 감정처럼.

my bad

An informal way to say 'my mistake' or 'I apologize' for something you did wrong.

내가 잘못한 것에 대해 '내 실수'나 '미안해'를 비공식적으로 말하는 방법.

reach out

To contact someone directly, often by message or call, to communicate.

누군가에게 직접 연락하는 것, 종종 메시지나 전화로, 소통하기 위해.

appreciate

To feel grateful for something or someone; shows thanks for understanding or help.

무언가나 누군가에 대해 감사하는 느낌을 가지다; 이해나 도움에 대한 감사를 표현한다.

brought it up

To start talking about a topic or issue; useful for raising concerns gently.

주제나 문제에 대해 말하기 시작하기;우려를 부드럽게 제기하는 데 유용합니다.

핵심 문장

기억하고 연습해야 할 중요한 구문

I felt a bit left out yesterday when you guys made plans for dinner without mentioning it to me directly.

This uses an 'I' statement to express feelings without blaming others; start with 'I felt' to focus on your own emotions, which helps avoid arguments.

이는 '나' 문장으로 타인을 비난하지 않고 감정을 표현합니다. '나는 느꼈다'로 시작하면 자신의 감정에 초점을 맞춰 논쟁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I know it wasn't intentional, but I just felt a little forgotten.

This acknowledges the other person's good intentions while sharing your feelings; 'but' connects understanding with your experience, making it polite.

이것은 상대의 좋은 의도를 인정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공유하는 것; 'but'은 이해와 경험을 연결하여 예의 바르게 만듭니다.

I'm really sorry to hear that.

A simple apology that shows empathy; use this to respond when someone shares their hurt feelings, focusing on listening.

공감을 보여주는 간단한 사과; 누군가가 상처받은 감정을 공유할 때 이걸 사용해서 응답하세요, 듣는 데 초점을 맞춰서.

I honestly didn't think about it that way.

This admits a mistake without defensiveness; 'honestly' adds sincerity, useful for explaining your perspective calmly.

이것은 방어적이지 않게 실수를 인정합니다; 'honestly'는 진정성을 더해, 자신의 관점을 차분하게 설명하는 데 유용합니다.

I understand you assumed that.

Shows active listening by repeating the other's point; starts with 'I understand' to build rapport and de-escalate the situation.

상대의 포인트를 반복하여 적극적인 경청을 보여줌; 관계 구축과 상황 완화를 위해 'I understand'로 시작합니다.

Yeah, I totally get that now.

Expresses full understanding after hearing more; 'totally get' is casual and positive, good for confirming empathy in conversations.

더 듣고 난 후 완전한 이해를 표현합니다; 'totally get'은 캐주얼하고 긍정적이며, 대화에서 공감을 확인하는 데 좋습니다.

My bad. Next time, I'll definitely make sure to reach out to you directly.

An informal apology followed by a promise to improve; 'next time' shows commitment to change, which resolves misunderstandings effectively.

비공식적인 사과에 개선 약속이 따르고; '다음에는'은 변화에 대한 헌신을 보여주며, 이는 오해를 효과적으로 해결한다.

I appreciate you understanding. It makes a big difference to me.

Expresses thanks for empathy; 'makes a big difference' explains why it matters, helping to strengthen relationships after a talk.

공감에 대한 감사를 표현;'makes a big difference'는 왜 중요한지 설명하며, 대화 후 관계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