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으로 돌아가기

Presenting Library Card & Books

도서관 카드와 도서 제시

The librarian greets the patron, who then presents their library card and the books they wish to check out.

사서가 이용자를 맞이하고, 이용자는 그 후에 도서관 카드와 대출하고 싶은 책들을 제시한다.

대화

대화를 듣고 따라가세요

1
Lisa (Female)
Hi there. Ready to check out?
안녕하세요. 대출 준비 되셨나요?
2
James (Male)
Yes, please. Here's my card, and these are the books.
네, 부탁드려요. 여기 제 카드예요, 그리고 이것들이 책들이에요.
3
Lisa (Female)
Alright, let's get these scanned.
알았어, 이거 스캔하자.
4
Lisa (Female)
They'll be due back on October 25th.
그것들은 10월 25일에 반환되어야 합니다.
5
James (Male)
Okay, great. Thank you!
네,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6
Lisa (Female)
You're welcome. Have a good day!
천만에요. 좋은 하루 되세요!

어휘

대화에 나오는 필수 단어 및 구문

check out

This means to borrow books from a library. Use it when you're ready to take books home after selecting them.

이것은 도서관에서 책을 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책을 선택한 후 집으로 가져갈 준비가 되었을 때 사용하세요.

library card

A special ID card that allows you to borrow books from the library. You need to show it at the desk.

도서관에서 책을 빌릴 수 있게 해주는 특별한 신분증. 카운터에서 보여줘야 합니다.

scanned

Means using a machine to read the barcode on books to record them as borrowed. It's a quick process at the checkout desk.

책의 바코드를 기계로 읽어 대출된 것으로 기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출 데스크에서 빠른 과정입니다.

due back

The date by which you must return the borrowed books to the library. It helps avoid late fees.

도서관에 빌린 책을 반납해야 하는 날짜입니다. 연체료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핵심 문장

기억하고 연습해야 할 중요한 구문

Hi there. Ready to check out?

This is a friendly greeting from the librarian asking if the customer is ready to borrow books. It's useful for starting service interactions; 'Hi there' is casual, and the question uses present tense for immediate action.

이것은 사서로부터의 친근한 인사로, 고객이 책을 빌릴 준비가 되었는지 묻는 것입니다. 서비스 상호작용을 시작하는 데 유용합니다; 'Hi there'는 캐주얼하며, 질문은 즉각적인 행동을 위한 현재형을 사용합니다.

Yes, please. Here's my card, and these are the books.

The patron politely agrees and presents their items. 'Yes, please' is a common polite response; 'here's' is a contraction of 'here is' for showing something. Use this when handing over your library card and books.

이용자는 예의 바르게 동의하고 아이템을 제시합니다. '네, 부탁드려요'는 흔한 예의 바른 응답입니다; '여기'는 '여기에 있습니다'의 축약형으로 무언가를 보여줄 때 사용합니다. 도서관 카드와 책을 넘길 때 이것을 사용하세요.

Alright, let's get these scanned.

The librarian agrees to proceed with checking out. 'Alright' means okay; 'let's' is a contraction for 'let us' suggesting joint action in a helpful way. It's practical for service situations to move things forward.

사서가 대출을 진행하는 데 동의합니다. 'Alright'는 '괜찮아'라는 의미입니다. 'let's'는 'let us'의 축약형으로 도움이 되는 공동 행동을 제안합니다. 서비스 상황에서 일을 진행하는 데 실용적입니다.

They'll be due back on October 25th.

Informs the due date for return. 'They'll be' is future tense contraction of 'they will be'; it explains the return policy. Use this to tell someone when something is expected back, like in rentals.

반환 기한을 알립니다. 'They'll be'는 'they will be'의 미래형 축약형으로, 반환 정책을 설명합니다. 이를 사용하여 렌탈 등에서 무언가가 언제 반환될 것으로 예상되는지 누군가에게 알려줍니다.

You're welcome. Have a good day!

A polite response to thanks, ending the interaction positively. 'You're welcome' acknowledges gratitude; 'Have a good day' is a common farewell. It's essential for courteous endings in customer service.

감사에 대한 예의 바른 응답으로,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마무리합니다. '천만에요'는 감사를 인정하고, '좋은 하루 되세요'는 일반적인 작별 인사입니다. 고객 서비스에서 예의 바른 마무리에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