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ing the Self-Service Kiosk
A patron uses an automated self-service kiosk to select a movie, choose seats, and pay for tickets, potentially needing assistance or encountering minor issues.
고객이 자동화된 셀프서비스 키오스크를 사용하여 영화를 선택하고, 좌석을 선택하며, 티켓을 결제하지만, 도움을 필요로 하거나 사소한 문제를 만날 수 있습니다.
대화
대화를 듣고 따라가세요
어휘
대화에 나오는 필수 단어 및 구문
kiosk
A small machine or booth where you can buy tickets or get services automatically, like at a movie theater.
영화관처럼 티켓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받을 수 있는 작은 기계나 부스.
select
To choose or pick something from options, such as a movie from a list on a screen.
옵션에서 무언가를 선택하거나 고르는 것, 예를 들어 화면의 목록에서 영화를 선택하는 것.
seating chart
A diagram or map that shows the arrangement of seats in a theater, helping you pick your spots.
극장에서 좌석 배치를 보여주는 도표나 지도로, 자리를 고르는데 도움이 됩니다.
adult tickets
Tickets for grown-ups, usually more expensive than child tickets, for people 18 and older.
성인을 위한 티켓, 일반적으로 어린이 티켓보다 비싸며, 18세 이상을 위한 것입니다.
payment
The act of giving money to buy something, like tickets at a kiosk.
무언가를 사기 위해 돈을 주는 행위, 예를 들어 키오스크에서 티켓을 사는 것처럼.
credit card
A plastic card used to pay for things electronically, without using cash.
현금을 사용하지 않고 전자적으로 물건을 지불하는 데 사용되는 플라스틱 카드.
insert
To put something into a slot or place, like sliding a card into a machine.
슬롯이나 장소에 무언가를 넣는 것, 예를 들어 카드를 기계에 슬라이드하는 것처럼.
processing
When a machine is handling or checking something, like verifying your payment.
기계가 무언가를 처리하거나 확인할 때, 예를 들어 결제를 확인하는 것.
핵심 문장
기억하고 연습해야 할 중요한 구문
Okay, so this is the self-service kiosk.
This sentence introduces a location or device casually. 'Okay, so' is a common filler to start explaining. Useful for guiding someone in public places like theaters.
이 문장은 장소나 기기를 캐주얼하게 소개합니다. 'Okay, so'는 설명을 시작하는 흔한 필러입니다. 극장 같은 공공 장소에서 누군가를 안내할 때 유용합니다.
How many tickets do we need?
A question to confirm quantity. 'How many' asks for a number, and 'do we need' uses present simple for general needs. Great for shopping or booking situations.
수량을 확인하는 질문입니다. 'How many'는 숫자를 묻고, 'do we need'는 일반적인 필요를 위해 현재 단순형을 사용합니다. 쇼핑이나 예약 상황에 좋습니다.
Yeah, two adult tickets.
An agreement and specification. 'Yeah' is informal for 'yes,' and it specifies the type. Use this to confirm orders clearly in service interactions.
동의와 명세입니다. 'Yeah'는 'yes'의 비공식적인 표현으로, 유형을 지정합니다. 서비스 상호작용에서 주문을 명확하게 확인하는 데 이 표현을 사용하세요.
Which ones look good?
Asking for an opinion on choices. 'Which ones' refers to options, and 'look good' means appear suitable. Helpful when deciding seats or items together.
선택지에 대한 의견을 묻는 표현입니다. 'Which ones'은 옵션을 가리키고, 'look good'은 적합해 보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함께 좌석이나 아이템을 결정할 때 도움이 됩니다.
How about those two in the middle, G5 and G6?
Suggesting an option politely. 'How about' introduces a suggestion, and it specifies locations. Use this in group decisions to propose ideas without being pushy.
옵션을 정중하게 제안하는 것. 'How about'은 제안을 소개하고 위치를 지정합니다. 그룹 결정에서 강요하지 않고 아이디어를 제안할 때 사용하세요.
It's asking for payment.
Describing what a machine requires. Present continuous 'is asking' shows ongoing action. Useful for explaining tech interactions step by step.
기계가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설명합니다. 현재 진행형 'is asking'은 지속적인 행동을 나타냅니다. 기술 상호작용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데 유용합니다.
Just insert it right there where it lights up.
Giving instructions simply. 'Just' softens the command, and 'where it lights up' describes the spot. Ideal for helping with machines or devices.
간단히 지시를 내리는 것. 'Just'는 명령을 부드럽게 하고, 'where it lights up'은 그 장소를 설명한다. 기계나 장치를 도와줄 때 이상적이다.
Payment successful.
A short confirmation of success. This is like a status message; use it to report positive results in transactions. No verb needed for brevity in announcements.
성공을 확인하는 짧은 메시지입니다. 이는 상태 메시지와 같으며, 거래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알림의 간결성을 위해 동사가 필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