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oubleshooting Experimental Issues
Researchers encounter unexpected results or technical difficulties in an experiment and collaborate to identify the cause and find solutions to proceed with the research.
연구자들은 실험에서 예상치 못한 결과나 기술적 어려움을 겪고, 원인을 파악하고 연구를 계속 진행하기 위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협력합니다.
대화
대화를 듣고 따라가세요
어휘
대화에 나오는 필수 단어 및 구문
outlier
An outlier is a value or data point that is very different from the others, often indicating an error or unusual situation. In research, it helps identify problems like contamination.
이상치는 다른 값이나 데이터 포인트와 매우 다르며, 종종 오류나 비정상적인 상황을 나타냅니다. 연구에서 이는 오염과 같은 문제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contamination
Contamination means something unwanted, like dirt or chemicals, getting into a sample or equipment, which can ruin experiment results. It's common in labs to prevent this.
오염이란 샘플이나 장비에 흙이나 화학 물질 같은 원치 않는 것이 들어가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실험 결과를 망칠 수 있습니다. 실험실에서는 이를 방지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reagents
Reagents are chemicals used in experiments to cause reactions or test samples. Always check them for purity to avoid errors in scientific work.
시약은 실험에서 반응을 일으키거나 샘플을 테스트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 물질입니다. 과학 작업에서 오류를 피하기 위해 항상 순도를 확인하세요.
glassware
Glassware refers to lab tools made of glass, like beakers and flasks, used to hold or mix substances. They need to be cleaned properly to avoid contamination.
유리기구는 비커와 플라스크 같은 유리로 만든 실험 도구를 가리키며, 물질을 담거나 섞는 데 사용됩니다. 오염을 피하기 위해 제대로 세척해야 합니다.
blank
In lab tests, a blank is a sample with no analyte (the thing being measured) to check for background interference. It's used to ensure accurate results.
실험실 테스트에서 블랭크는 분석 대상(측정되는 물질)이 없는 샘플로, 배경 간섭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정확한 결과를 보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degradation
Degradation means the breakdown or wear of materials over time, like tubing getting damaged. In experiments, it can cause leaks or inaccurate data.
열화는 시간이 지나면서 재료의 분해 또는 마모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튜브가 손상되는 것처럼. 실험에서 이는 누출이나 부정확한 데이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residue
Residue is leftover material, like dried chemicals on equipment after use. Cleaning removes it to prevent it from affecting new experiments.
잔류물은 사용 후 장비에 남아 있는 남은 물질로, 예를 들어 마른 화학 물질입니다. 청소는 새로운 실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이를 제거합니다.
pinpoint
To pinpoint means to identify exactly where or what the problem is. It's useful in troubleshooting to find the exact cause of an issue.
핀포인트하다란 문제의 위치나 무엇인지 정확히 식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문제의 정확한 원인을 찾는 문제 해결에 유용합니다.
핵심 문장
기억하고 연습해야 할 중요한 구문
Have you had a chance to look at the latest data?
This is a polite way to ask if someone has reviewed recent information. Use it in professional settings to check progress without being direct. The structure uses present perfect 'have had' for recent actions.
이는 누군가가 최근 정보를 검토했는지 묻는 예의 바른 방법입니다. 전문적인 상황에서 진행 상황을 확인할 때 직접적이지 않게 사용하세요. 구조는 최근 행동을 위해 현재 완료형 'have had'를 사용합니다.
Those levels are definitely an outlier.
This sentence identifies unusual data. 'Definitely' adds emphasis for certainty. It's useful in discussions to highlight problems. 'Outlier' is a key scientific term here.
이 문장은 비정상적인 데이터를 식별합니다. 'Definitely'는 확실성을 강조합니다. 논의에서 문제를 강조하는 데 유용합니다. 'Outlier'는 여기서 중요한 과학 용어입니다.
Everything followed the SOP rigorously.
SOP means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This shows strict adherence to rules. Use it to confirm procedures were done correctly. 'Rigourously' means very carefully and thoroughly.
SOP는 Standard Operating Procedure를 의미합니다. 이는 규칙의 엄격한 준수를 나타냅니다. 절차가 올바르게 수행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Rigourously'는 매우 신중하고 철저하게라는 의미입니다.
My immediate thought was potential contamination.
This expresses a quick suspicion about a cause. 'Immediate thought' means first idea. It's practical for brainstorming solutions in team discussions.
이것은 원인에 대한 빠른 의심을 표현합니다. 'Immediate thought'는 첫 번째 아이디어를 의미합니다. 팀 토론에서 솔루션 브레인스토밍에 실용적입니다.
It's odd that it's only showing up in experiment B.
This points out something strange and specific. 'It's odd that' introduces surprise. Use it to note patterns in data. The clause after 'that' explains why it's odd.
이것은 이상하고 구체적인 무언가를 지적한다. 'It's odd that'는 놀라움을 소개한다. 데이터를 이용해 패턴을 지적할 때 사용한다. 'that' 뒤의 절은 왜 이상한지 설명한다.
That specificity makes me wonder about something unique.
This suggests thinking deeper due to a detail. 'Makes me wonder' shows curiosity. Useful for scientific reasoning. 'Specificity' means being particular to one thing.
이것은 세부 사항으로 인해 더 깊이 생각할 것을 제안합니다. 'Makes me wonder'는 호기심을 보여줍니다. 과학적 추론에 유용합니다. 'Specificity'는 한 가지에 특유한 것을 의미합니다.
Sounds like a solid plan.
This agrees with a proposed idea positively. 'Sounds like' means it appears to be. Use it to show support in meetings. 'Solid' means reliable and strong.
이것은 제안된 아이디어에 긍정적으로 동의하는 표현입니다. 'Sounds like'는 '그렇게 들린다'는 의미입니다. 회의에서 지지를 보일 때 사용하세요. 'Solid'는 신뢰할 수 있고 강한 것을 의미합니다.
Let's reconvene this afternoon to discuss the results.
This suggests meeting again later. 'Reconvene' means to meet again after a break. It's formal for professional schedules. Use future time like 'this afternoon' to specify when.
이는 나중에 다시 만나자는 의미입니다. 'Reconvene'은 휴식 후에 다시 모이는 것을 뜻합니다. 전문적인 일정에 적합한 형식적인 표현입니다. '오후에'처럼 미래 시간을 지정하여 사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