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ing a Faulty Product
A customer discovers a newly purchased electronic device is not working correctly and needs to report the fault to the store or manufacturer.
고객이 새로 구매한 전자 기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고, 상점이나 제조사에 고장을 보고해야 합니다.
대화
대화를 듣고 따라가세요
어휘
대화에 나오는 필수 단어 및 구문
receipt
A receipt is a piece of paper or digital record that proves you bought something. It's important when returning or exchanging items, as stores need it to verify your purchase.
영수증은 무언가를 구매했음을 증명하는 종이 또는 디지털 기록입니다. 반품이나 교환 시 중요하며, 상점에서 구매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trouble
Trouble means a problem or difficulty. In this context, 'having trouble with it' means the device is not working properly, which is common when complaining about products.
Trouble은 문제나 어려움을 의미합니다. 이 맥락에서 'having trouble with it'은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제품에 대해 불평할 때 흔히 사용됩니다.
turn on
To turn on means to start or activate a device, like pressing a button to make it work. It's a phrasal verb often used for electronics.
켜다라는 것은 기기를 시작하거나 활성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버튼을 눌러 작동하게 하는 것처럼요. 전자 제품에 자주 사용되는 구동사입니다.
charge
To charge means to add power to a battery, like plugging in a phone or speaker. 'Charging it fully' means waiting until it's completely powered up.
충전은 배터리에 전력을 추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휴대폰이나 스피커를 플러그인하는 것처럼. '완전히 충전하기'는 완전히 충전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defect
A defect is a flaw or problem in a product made during manufacturing. 'Manufacturing defect' explains why a new item might not work right away.
결함은 제조 과정에서 만들어진 제품의 결점이나 문제입니다. '제조 결함'은 새로운 제품이 즉시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exchange
An exchange means replacing a faulty item with a new one of the same type, instead of getting money back. It's a common option when complaining.
교환은 결함이 있는 물품을 동일한 유형의 새 물품으로 교체하는 것을 의미하며, 돈을 돌려받는 대신입니다. 불만을 제기할 때 흔한 옵션입니다.
refund
A refund is getting your money back for a product that doesn't work. It's useful to know this word when you want to return something without replacing it.
환불은 작동하지 않는 제품에 대해 돈을 돌려받는 것입니다. 대체 없이 무언가를 반품하고 싶을 때 이 단어를 아는 것이 유용합니다.
inconvenience
Inconvenience means trouble or annoyance caused to someone. Apologizing for the inconvenience is polite when service goes wrong.
불편은 누군가에게 발생한 문제나 짜증을 의미합니다. 서비스가 잘못될 때 불편을 사과하는 것은 예의 바른 행동입니다.
핵심 문장
기억하고 연습해야 할 중요한 구문
I'm having trouble with it. It just won't turn on.
This sentence describes a problem clearly and simply. 'Having trouble with' is a common phrase for reporting issues. 'Just won't' emphasizes that it refuses to work, useful for complaints. Use it when explaining faults to customer service.
이 문장은 문제를 명확하고 간단하게 설명합니다. 'Having trouble with'는 문제를 보고하는 일반적인 표현입니다. 'Just won't'는 그것이 작동을 거부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불만 사항에 유용합니다. 고객 서비스에 결함을 설명할 때 사용하세요.
Do you have your receipt with you?
This is a polite question to check for proof of purchase. 'With you' means 'on your person' or available now. It's a standard service phrase; learners can use it in retail jobs or when helping others.
이는 구매 증명을 확인하기 위한 예의 바른 질문입니다. 'With you'는 '당신에게' 또는 지금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표준 서비스 구문으로, 학습자들은 소매업 일자리나 다른 사람을 도울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As you can see, I literally bought it less than 24 hours ago.
This highlights the recent purchase to support the complaint. 'As you can see' refers to visible evidence like the receipt. 'Literally' adds emphasis, meaning exactly or truly. Useful for stressing urgency in returns.
이는 최근 구매를 강조하여 불만을 지지합니다. 'As you can see'는 영수증 같은 가시적인 증거를 가리킵니다. 'Literally'는 강조를 더하며, 정확히 또는 진짜라는 의미입니다. 반품의 긴급성을 강조하는 데 유용합니다.
Have you tried charging it fully or checking the power cable?
This suggests troubleshooting steps politely. 'Have you tried' is present perfect for past actions with current relevance. 'Or' connects alternatives. Service reps use this to diagnose issues before offering solutions.
이것은 예의 바르게 문제 해결 단계를 제안합니다. 'Have you tried'는 과거 행동이 현재 관련성을 가진 현재 완료형입니다. 'Or'는 대안을 연결합니다. 서비스 담당자는 솔루션을 제공하기 전에 문제를 진단하기 위해 이것을 사용합니다.
Yes, I did all that. I even tried a different charging cable, just in case, but no luck.
This responds to suggestions by confirming attempts. 'Did all that' refers back to previous ideas. 'Just in case' means as a precaution. 'No luck' idiomatically means it didn't work. Great for showing you've tried fixes in complaints.
이것은 제안에 대한 응답으로 시도한 것을 확인합니다. 'Did all that'은 이전 아이디어를 가리킵니다. 'Just in case'는 예방 조치를 의미합니다. 'No luck'는 관용적으로 작동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불만에서 수정 사항을 시도한 것을 보여주는 데 좋습니다.
Since it's within the return period and you have your receipt, we can certainly offer you an exchange or a full refund.
This explains policy reasons for help. 'Since' introduces cause. 'Within the return period' means inside the allowed time. 'Certainly' shows confidence. Useful for understanding customer rights and service responses.
이는 정책 이유에 대한 도움말을 설명합니다. 'Since'는 원인을 소개합니다. 'Within the return period'는 허용된 시간 내를 의미합니다. 'Certainly'는 자신감을 나타냅니다. 고객 권리와 서비스 응답 이해에 유용합니다.
An exchange would be great. I really liked the features of this model.
This expresses preference politely. 'Would be great' is conditional for suggestions. 'Features' means special functions. Use this when choosing options in complaints to keep a positive tone.
이것은 선호를 정중하게 표현합니다. 'Would be great'은 제안을 위한 가정법입니다. 'Features'는 특별한 기능을 의미합니다. 불만 사항에서 옵션을 선택할 때 긍정적인 톤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세요.
I apologize for the inconvenience.
This is a formal apology. 'Apologize for' is used with reasons. It's a key polite phrase in service to end interactions positively. Learners should use it when something goes wrong on their end.
이것은 공식적인 사과입니다. 'Apologize for'는 이유와 함께 사용됩니다. 이는 서비스에서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한 핵심적인 예의 바른 표현입니다. 학습자들은 자신 측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를 사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