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으로 돌아가기

Deciphering the Instructions - The Language Barrier (of pictograms)

지시사항 해독 - 언어 장벽 (픽토그램의)

The couple struggles to understand a particularly confusing step in the purely pictorial IKEA instruction manual. They might argue over the interpretation of an illustration, leading to a discussion about what each symbol or arrow means, possibly having to re-read or look ahead for clues.

커플은 IKEA의 순수하게 그림으로 된 조립 설명서에서 특히 혼란스러운 단계를 이해하려고 애쓰고 있다. 그들은 일러스트의 해석을 놓고 다툴 수 있으며, 이는 각 기호나 화살표의 의미에 대한 토론으로 이어질 수 있고, 아마도 다시 읽거나 앞으로 확인하여 단서를 찾아야 할지도 모른다.

대화

대화를 듣고 따라가세요

1
John (Male)
Okay, so we've got the side panels on, but this next step... I'm really scratching my head here.
좋아, 사이드 패널은 다 붙였어, 하지만 다음 단계… 정말 머리를 쥐어뜯고 있어.
2
Sarah (Female)
Let me see. Is that an arrow pointing *through* the wood? Or is it showing us where to drill a hole?
잠깐 보자. 저게 나무를 *뚫고* 가는 화살표인가? 아니면 구멍을 뚫을 위치를 알려주는 건가?
3
John (Male)
Exactly! It looks like it's going straight through. But there's no pre-drilled hole there. And this little symbol next to it... a circle with a cross?
맞아! 직접 뚫고 지나가는 것 같아. 하지만 거기엔 미리 뚫린 구멍이 없어. 그리고 옆에 이 작은 기호… 십자가 표시가 있는 원?
4
Sarah (Female)
Usually, that means 'don't do this' or 'not applicable'. But then what IS applicable? Maybe we need to look ahead to the next page for context.
보통, 그것은 '이것을 하지 마' 또는 '해당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그럼 무엇이 해당되는 거죠? 아마 다음 페이지로 넘겨서 맥락을 확인해야 할 거예요.
5
John (Male)
Good idea. Let's flip the page... Ah, wait! Look at this detail here on step seven. It shows a different type of screw going into *that* same spot.
좋은 생각이야. 페이지를 넘겨보자… 아, 잠깐! 일곱 번째 단계 여기 이 세부 사항 봐. 다른 종류의 나사가 *저* 같은 자리에 들어가는 걸 보여주네.
6
Sarah (Female)
So, the first illustration was a 'wrong way' example? That's so misleading! They should put a big 'X' over it or something.
그래서, 첫 번째 일러스트가 '잘못된 방법'의 예시였어? 그건 너무 오도되기 쉬워! 큰 'X'를 올리거나 뭐라도 해야지.
7
John (Male)
Tell me about it. IKEA instructions, always an adventure. So, we're definitely using the 'cam lock and bolt' here, not the long screw.
그러게. IKEA 설명서, 항상 모험 같아. 그래서 여기서는 확실히 '편심 잠금과 볼트'를 쓰는 거야, 긴 나사 말고.
8
Sarah (Female)
Right. Okay, that makes so much more sense. This pictogram language is a real test of our decoding skills, isn't it?
맞아. 알겠어, 그럼 훨씬 더 말이 돼. 이 픽토그램 언어는 우리 해독 능력의 진짜 시험이야, 그렇지?

어휘

대화에 나오는 필수 단어 및 구문

scratching my head

An idiom meaning to be confused or puzzled about something, like trying to solve a difficult problem.

어떤 것에 대해 혼란스럽거나 어리둥절한 상태를 의미하는 관용어로,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와 같다.

arrow

A straight line with a pointed end that shows direction, often used in diagrams or instructions to guide actions.

방향을 나타내는 뾰족한 끝이 있는 직선으로, 다이어그램이나 지시에서 종종 사용되어 행동을 안내합니다.

drill a hole

To use a tool called a drill to make a small opening in wood or another material, common in DIY tasks like furniture assembly.

드릴이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나무나 다른 재료에 작은 구멍을 만드는 것. 가구 조립과 같은 DIY 작업에서 흔하다.

pre-drilled

Describes a hole that has already been made in advance with a drill, so you don't need to make it yourself.

드릴로 미리 만들어진 구멍을 설명하며, 스스로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symbol

A simple picture or sign that represents an idea or instruction, like in manuals where words are not used.

아이디어나 지시를 나타내는 간단한 그림이나 기호로, 단어가 사용되지 않는 매뉴얼에서처럼.

misleading

Something that causes confusion or leads you to the wrong conclusion, often used when instructions are unclear.

혼란을 일으키거나 잘못된 결론으로 이끄는 것, 지시가 불명확할 때 자주 사용됨.

Tell me about it

An informal expression to strongly agree with someone and show you share their frustration or experience.

누군가에게 강하게 동의하고 그들의 좌절이나 경험을 공유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비공식적인 표현.

pictogram

A visual symbol or picture that communicates information without words, like icons in IKEA instructions.

말 없이 정보를 전달하는 시각적 상징이나 그림, IKEA 지침서의 아이콘처럼.

decoding

The process of figuring out or interpreting the meaning of something complex, like symbols or codes.

복잡한 것, 예를 들어 기호나 코드의 의미를 파악하거나 해석하는 과정.

핵심 문장

기억하고 연습해야 할 중요한 구문

I'm really scratching my head here.

This is an idiomatic expression using 'scratching my head' to show confusion. It's useful for everyday situations when you're puzzled, and the adverb 'really' adds emphasis. Use it casually with friends or partners.

'머리를 쥐어뜯다'라는 관용 표현으로 혼란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당황스러운 일상 상황에서 유용하며, 부사 'really'가 강조를 더합니다. 친구나 파트너와 캐주얼하게 사용하세요.

Is that an arrow pointing through the wood?

A yes/no question using 'is that' to seek clarification on a visual detail. The present continuous 'pointing' describes the action shown. Useful for describing diagrams or instructions in collaborative tasks.

'is that'을 사용한 예/아니오 질문으로, 시각적 세부 사항에 대한 명확화를 요청합니다. 현재 진행형 'pointing'은 표시된 동작을 설명합니다. 공동 작업에서 다이어그램이나 지침을 설명하는 데 유용합니다.

Usually, that means 'don't do this' or 'not applicable'.

This sentence explains the meaning of a symbol with 'usually' for general cases and quotes for examples. 'Not applicable' is a common phrase meaning something doesn't apply. Great for interpreting signs or rules.

이 문장은 '보통'으로 일반적인 경우를 설명하고, 인용부호로 예를 들며 기호의 의미를 설명합니다. '해당되지 않음'은 무언가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의미의 흔한 표현입니다. 표지판이나 규칙을 해석하는 데 훌륭합니다.

Maybe we need to look ahead to the next page for context.

A suggestion starting with 'maybe' for possibility, using 'look ahead' meaning to check future parts. 'Context' refers to surrounding informa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Use this when instructions are unclear.

'maybe'로 시작하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제안으로, 'look ahead'는 미래 부분을 확인하는 의미입니다. 'Context'는 더 나은 이해를 위한 주변 정보를 가리킵니다. 지시가 불분명할 때 이를 사용하세요.

That's so misleading!

An exclamation expressing frustration, with 'so' intensifying 'misleading' (causing confusion). Informal and emotional; use it to complain about confusing information like manuals or ads.

좌절감을 표현하는 감탄사로, 'so'가 'misleading'(혼란을 일으키는)을 강조. 비공식적이고 감정적; 매뉴얼이나 광고 같은 혼란스러운 정보에 대해 불평할 때 사용.

Tell me about it.

A short idiomatic response to agree emphatically, often with sarcasm or shared annoyance. No grammar complexity, but very common in casual conversations to show empathy.

강한 동의를 나타내는 짧은 관용 표현으로, 종종 비꼬기나 공유된 짜증을 동반함. 문법적으로 복잡하지 않지만, 일상 대화에서 공감을 보이기 위해 매우 흔함.

This pictogram language is a real test of our decoding skills, isn't it?

A statement with a tag question 'isn't it?' to seek agreement. 'Real test' means a true challenge. Useful for discussing difficulties and involving the listener in reflective talks.

동의를 구하는 태그 질문 '그렇죠?'가 포함된 진술입니다. '진짜 시험'은 진정한 도전을 의미합니다. 어려움을 논의하고 청취자를 반성적인 대화에 참여시키는 데 유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