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으로 돌아가기

Opening Statement & Stating Core Arguments

개회 진술 및 핵심 논점 제시

Each team delivers an opening statement, outlining their fundamental policy proposal or opposition and the main arguments supporting their stance.

각 팀은 개회 성명을 발표하며, 그들의 기본 정책 제안 또는 반대 입장과 그 입장을 지지하는 주요 논거를 개요한다.

대화

대화를 듣고 따라가세요

1
Debater A (Proponent) (Male)
Good morning, everyone. Our proposal for today is the implementation of a universal basic income program across the nation. We firmly believe this policy is not merely a social safety net, but a vital investment in human potential and economic stability.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 제안하는 것은 전국적인 보편적 기본소득 프로그램의 시행입니다. 우리는 이 정책이 단순한 사회 안전망일 뿐만 아니라, 인간 잠재력과 경제 안정에 대한 필수적인 투자라고 굳게 믿습니다.
2
Debater A (Proponent) (Male)
Our primary argument centers on the idea that UBI will alleviate poverty, reduce administrative burdens of existing welfare programs, and stimulate local economies by empowering individuals with consistent purchasing power. Fundamentally, it's about dignity and opportunity.
우리의 주요 논점은 UBI가 빈곤을 완화하고, 기존 복지 프로그램의 행정 부담을 줄이며, 개인에게 일관된 구매력을 부여함으로써 지역 경제를 자극할 것이라는 아이디어에 중심을 둡니다. 근본적으로, 이는 존엄성과 기회에 관한 것입니다.
3
Debater B (Opponent) (Female)
Thank you. While the aspiration behind a universal basic income is commendable, our team stands in opposition due to significant concerns regarding its economic feasibility and potential disincentives to work.
감사합니다. 보편적 기본소득 뒤의 열망은 칭찬할 만하지만, 우리 팀은 경제적 실현 가능성과 잠재적 노동 의욕 저하에 대한 중대한 우려로 인해 반대합니다.
4
Debater B (Opponent) (Female)
Our core argument is that the immense cost of such a program would necessitate unsustainable tax increases or lead to unmanageable national debt. Furthermore, we believe it risks fostering dependency rather than true empowerment, and could lead to labor market distortions.
우리 핵심 논거는 그러한 프로그램의 막대한 비용이 지속 불가능한 세금 인상을 필요로 하거나 관리할 수 없는 국가 부채로 이어질 것이라는 것입니다. 게다가 우리는 이것이 진정한 권한 부여가 아닌 의존성을 조장할 위험이 있으며, 노동 시장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5
Debater A (Proponent) (Male)
To address the financial aspect, we propose a multi-faceted funding model, including reallocating funds from less efficient welfare programs, modest progressive taxation adjustments, and leveraging economic growth spurred by increased demand. This isn't a handout, it's a structural shift.
재정적 측면을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다각적인 자금 조달 모델을 제안합니다. 이는 효율이 낮은 복지 프로그램에서 자금을 재배분하고, 적당한 누진세 조정, 그리고 수요 증가로 촉진된 경제 성장의 활용을 포함합니다. 이것은 구휼이 아니라 구조적 변화입니다.
6
Debater B (Opponent) (Female)
And on the labor front, studies from existing UBI trials are not conclusive regarding long-term work incentives. Our argument is that we need to focus on job creation and skills training, rather than a system that could potentially detach individuals from the traditional workforce, thereby undermining productivity.
노동 분야에서 기존 UBI 시험의 연구들은 장기적인 노동 유인에 대해 결론적이지 않습니다. 우리의 주장은, 일자리 창출과 기술 훈련에 집중해야 하며, 전통적인 노동력에서 개인을 잠재적으로 분리시켜 생산성을 훼손할 수 있는 시스템이 아니라,라는 것입니다.

어휘

대화에 나오는 필수 단어 및 구문

implementation

The act of putting a plan or policy into action. Use it when discussing starting new programs, like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law begins next year.'

계획이나 정책을 실행에 옮기는 행위. 새로운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것을 논의할 때 사용하세요, 예를 들어 '새로운 법의 구현은 내년에 시작됩니다.'

alleviate

To make something less severe or painful, often used for problems like poverty. For example, 'This medicine will alleviate your headache.'

무언가를 덜 심각하거나 고통스럽게 만드는 것, 종종 빈곤 같은 문제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이 약은 두통을 완화할 것입니다.'

feasibility

The possibility of something being done successfully, especially regarding cost and practicality. Say, 'We need to check the feasibility of this project.'

무언가가 비용과 실용성을 고려하여 성공적으로 수행될 가능성. 예를 들어, '이 프로젝트의 타당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disincentives

Things that discourage people from doing something, like working. Use in debates: 'High taxes can create disincentives for investment.'

사람들이 무언가를 하는 것을 막는 것들, 예를 들어 일하는 것. 토론에서 사용: '높은 세금은 투자에 대한 억제인센티브를 만들 수 있다.'

dependency

The state of relying too much on something or someone, often negatively. For instance, 'Government aid can lead to dependency if not managed well.'

무언가나 누군가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는 상태로, 종종 부정적이다. 예를 들어, '정부 원조는 잘 관리되지 않으면 의존성을 초래할 수 있다.'

empowerment

The process of giving people power or confidence to act independently. Common in policy talks: 'Education is key to women's empowerment.'

사람들에게 독립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힘 또는 자신감을 주는 과정. 정책 토론에서 흔히 사용됨: '교육은 여성 권한 부여의 핵심이다.'

reallocating

Redistributing resources or money to different areas. Useful in budget discussions: 'We are reallocating funds from marketing to research.'

자원이나 돈을 다른 영역으로 재배분하는 것. 예산 논의에서 유용: '우리는 마케팅에서 연구로 자금을 재할당하고 있다.'

incentives

Things that motivate or encourage action, like rewards. In debates: 'Tax breaks provide incentives for businesses to hire more workers.'

행동을 동기부여하거나 장려하는 것들, 예를 들어 보상. 토론에서: '세금 감면은 기업들이 더 많은 노동자를 고용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핵심 문장

기억하고 연습해야 할 중요한 구문

Our proposal for today is the implementation of a universal basic income program across the nation.

This is an opening statement in a debate, using 'our proposal' to introduce an idea clearly. Useful for starting discussions; note the structure: subject + verb + specific policy. Practice for formal presentations.

이것은 토론의 개회 선언으로, '우리 제안'을 사용하여 아이디어를 명확하게 소개합니다. 토론을 시작하는 데 유용합니다; 구조를 주목하세요: 주어 + 동사 + 구체적인 정책. 공식 발표 연습에.

We firmly believe this policy is not merely a social safety net, but a vital investment in human potential and economic stability.

Emphasizes belief with 'firmly believe' and contrasts ideas using 'not merely... but...'. Great for arguing importance; helps intermediate learners express strong opinions in debates.

'firmly believe'로 믿음을 강조하고 'not merely... but...'로 아이디어를 대조합니다. 중요성을 주장하는 데 훌륭함; 중급 학습자들이 토론에서 강한 의견을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Our primary argument centers on the idea that UBI will alleviate poverty, reduce administrative burdens, and stimulate local economies.

Lists benefits with parallel structure (will + verb) after 'centers on the idea that'. Useful for stating core points; teaches how to use 'and' for multiple ideas in arguments.

'centers on the idea that' 다음에 병렬 구조 (will + 동사)로 이점을 나열합니다. 핵심 포인트를 진술하는 데 유용합니다; 논쟁에서 여러 아이디어를 'and'로 연결하는 방법을 가르칩니다.

While the aspiration behind a universal basic income is commendable, our team stands in opposition due to significant concerns.

A concession-contrast sentence starting with 'While... is...,' then opposition. Ideal for polite debates; shows balanced view and why to use it when acknowledging the other side.

'While... is...,'로 시작하는 양보-대조 문장, 그 후 반대. 예의 바른 토론에 이상적; 균형 잡힌 관점을 보여주며, 상대방을 인정할 때 사용하는 이유.

Our core argument is that the immense cost of such a program would necessitate unsustainable tax increases or lead to unmanageable national debt.

States main point with 'core argument is that' + clause; uses conditional 'would' for hypotheticals. Practical for counterarguments; highlights cause-effect with 'lead to'.

'core argument is that' + 절로 주요 포인트를 제시; 가정법을 위한 조건부 'would' 사용. 반박 논거에 실용적; 'lead to'로 인과 관계 강조.

To address the financial aspect, we propose a multi-faceted funding model, including reallocating funds from less efficient welfare programs.

Responds to concerns with 'To address...'; lists solutions after 'including'. Useful in rebuttals; teaches gerund phrases like 'reallocating funds' for proposals.

'To address...'로 우려에 응답; 'including' 후에 해결책 나열. 반박에 유용; 제안을 위한 'reallocating funds' 같은 동명사 구를 가르침.

Our argument is that we need to focus on job creation and skills training, rather than a system that could potentially detach individuals from the traditional workforce.

Contrasts alternatives with 'rather than'; uses 'could potentially' for possibilities. Key for debates; explains preference and modal verbs for uncertainty.

'rather than'으로 대안을 대조; 가능성을 위해 'could potentially' 사용. 토론의 핵심; 선호를 설명하고 불확실성을 위한 조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