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으로 돌아가기

Debating a Specific Policy Proposal

특정 정책 제안 논의

Two or more individuals engage in a more structured discussion, presenting arguments for and against a particular government policy, such as healthcare reform, environmental regulations, or economic stimulus.

두 명 이상의 개인이 더 구조화된 토론에 참여하며, 의료 개혁, 환경 규제, 또는 경제 자극과 같은 특정 정부 정책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주장을 제시합니다.

대화

대화를 듣고 따라가세요

1
Economist A (Male)
So, let's talk about this proposed universal basic income (UBI) policy. I believe it's a bold but necessary step to address income inequality and future job displacement.
자, 이 제안된 보편적 기본소득(UBI) 정책에 대해 이야기해 보죠. 저는 이것이 소득 불평등과 미래 일자리 상실을 해결하기 위한 대담하지만 필요한 단계라고 믿습니다.
2
Economist B (Female)
I understand the good intentions behind it, but I have serious concerns about its feasibility and potential economic impact. The sheer cost would be astronomical, and funding it would likely necessitate significant tax increases or massive deficits.
그 뒤에 숨은 좋은 의도는 이해하지만, 그 실현 가능성과 잠재적인 경제적 영향에 대해 심각한 우려가 있습니다. 그 비용은 천문학적일 것이고,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상당한 세금 인상이나 막대한 적자를 초래할 가능성이 큽니다.
3
Economist A (Male)
That's a valid point, but proponents argue that it could actually streamline existing welfare programs, reducing administrative overhead. Plus, imagine the benefits: increased consumer spending, reduced poverty, and a stronger safety net.
그건 타당한 지적입니다. 하지만 지지자들은 그것이 기존 복지 프로그램을 실제로 간소화하여 행정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게다가, 혜택을 상상해 보세요: 증가된 소비 지출, 감소된 빈곤, 그리고 더 강력한 안전망.
4
Economist B (Female)
While those are attractive outcomes, we also need to consider the potential for disincentives to work. If people receive a basic income regardless of employment, what motivates them to seek jobs, especially lower-paying ones? This could lead to labor shortages in critical sectors.
이러한 결과가 매력적이라고 해도, 우리는 일하려는 동기를 떨어뜨릴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사람들이 고용 여부와 상관없이 기본 소득을 받는다면, 특히 저임금 일자리를 찾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이는 핵심 부문에서 노동력 부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5
Economist A (Male)
Research suggests that UBI doesn't necessarily lead to a mass exodus from the workforce. People often use UBI to pursue education, retraining, or entrepreneurial ventures, ultimately contributing more effectively to the economy in the long run. It could foster innovation.
연구에 따르면 UBI는 노동력의 대규모 이탈로 반드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사람들은 종종 UBI를 교육, 재교육, 또는 창업 벤처 추구에 사용하며, 궁극적으로 장기적으로 경제에 더 효과적으로 기여합니다. 그것은 혁신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6
Economist B (Female)
That's an optimistic outlook, but the transition period would be incredibly complex. How do we ensure that industries can adapt to such a fundamental shift in labor supply? And what about rural areas or regions with fewer opportunities for those alternative pursuits?
그건 낙관적인 전망이지만, 전환 기간은 믿기지 않을 정도로 복잡할 거예요. 산업들이 노동 공급의 이러한 근본적인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어떻게 보장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농촌 지역이나 대안적 추구의 기회가 적은 지역들은 어떻게 될까요?
7
Economist A (Male)
It would certainly require careful implementation and regional adjustments. Perhaps a pilot program in specific areas could provide valuable data before a full nationwide rollout. We need to think big, but also act incrementally.
이는 확실히 신중한 시행과 지역별 조정이 필요할 것입니다. 특정 지역에서의 시범 프로그램이 전국적 확대 전에 귀중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크게 생각해야 하지만, 점진적으로 행동해야 합니다.
8
Economist B (Female)
I agree that a pilot program would be essential, especially to gauge public acceptance and its true impact on employment rates. Without solid data, implementing such a sweeping change would be a huge gamble.
저는 시범 프로그램이 필수적이라는 데 동의합니다. 특히 공공의 수용성과 고용률에 대한 실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요. 확실한 데이터 없이 이러한 광범위한 변화를 시행하는 것은 큰 도박이 될 것입니다.

어휘

대화에 나오는 필수 단어 및 구문

universal basic income

A government program that gives every citizen a regular amount of money, no matter their income or job status, to help reduce poverty.

모든 시민에게 소득이나 직업 상태와 관계없이 정기적으로 일정 금액의 돈을 제공하여 빈곤을 줄이는 것을 돕는 정부 프로그램.

income inequality

The uneven distribution of income among people in a society, where some have much more money than others.

사회 내 사람들 사이의 소득 불균등 분배로, 일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훨씬 더 많은 돈을 가진 상태.

feasibility

The quality of being possible or practical to do, especially for plans or projects.

실행 가능하거나 실용적인 상태의 특성, 특히 계획이나 프로젝트에 대해.

astronomical

Extremely large or high, often used to describe costs or numbers that are surprisingly big.

극도로 크거나 높은, 종종 놀랍게 큰 비용이나 숫자를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streamline

To make a process simpler and more efficient by removing unnecessary steps.

불필요한 단계를 제거하여 프로세스를 더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것.

disincentives

Things that discourage or reduce motivation for an action, like working hard.

행동에 대한 동기를 저하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들, 예를 들어 열심히 일하는 것.

pilot program

A small-scale test of a new idea or policy in a limited area before full implementation.

전면 시행 전에 제한된 지역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나 정책의 소규모 테스트.

sweeping change

A major, widespread transformation that affects many areas or people.

많은 영역이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주요하고 광범위한 변화.

핵심 문장

기억하고 연습해야 할 중요한 구문

I believe it's a bold but necessary step to address income inequality.

This sentence expresses a strong opinion using 'I believe' for belief, and 'bold but necessary' to contrast ideas. It's useful in debates to state support for a policy, helping intermediate learners practice opinion-sharing with conjunctions like 'but'.

이 문장은 'I believe'를 사용하여 믿음을 표현하고, 'bold but necessary'를 사용하여 아이디어를 대조함으로써 강한 의견을 표현합니다. 정책에 대한 지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토론에서 유용하며, 'but' 같은 접속사를 사용하여 의견 공유를 연습하는 중급 학습자에게 도움이 됩니다.

I understand the good intentions behind it, but I have serious concerns about its feasibility.

Here, 'I understand... but' shows polite acknowledgment before disagreement. This pattern is practical for balanced discussions, teaching how to concede a point while raising counterarguments, common in formal debates.

여기서 '나는 이해하지만...'은 반대 의견 전에 예의 바른 인정 을 보여줍니다. 이 패턴은 균형 잡힌 토론에 실용적이며, 한 점을 양보하면서 반론을 제기하는 방법을 가르칩니다. 이는 공식 토론에서 일반적입니다.

That's a valid point, but proponents argue that it could actually streamline existing welfare programs.

This uses 'That's a valid point' to agree partially, then 'but' to add more. It's great for debates to build rapport; the grammar shows how to reference arguments with 'proponents argue that' for reporting opinions.

이것은 '그건 타당한 지적'을 부분적으로 동의하기 위해 사용하고, 그 다음 '하지만'을 추가합니다. 토론에서 신뢰를 쌓는 데 좋습니다; 문법은 '지지자들은 ...라고 주장한다'로 의견을 보고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We also need to consider the potential for disincentives to work.

This sentence uses 'we need to consider' to suggest examining risks, with 'potential for' indicating possibility. Useful for introducing concerns in group discussions, highlighting impersonal language for objectivity.

이 문장은 'we need to consider'를 사용하여 위험을 검토할 것을 제안하며, 'potential for'는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그룹 토론에서 우려를 소개하는 데 유용하며, 객관성을 강조하기 위한 비인칭 언어를 강조합니다.

Research suggests that UBI doesn't necessarily lead to a mass exodus from the workforce.

'Research suggests' cites evidence to support a claim, and 'doesn't necessarily' softens absolutes. This is practical for evidence-based arguments, teaching how to use modals and negatives for nuanced opinions.

'Research suggests'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인용하며, 'doesn't necessarily'는 절대성을 부드럽게 합니다. 이는 증거 기반 논의에 실용적이며, 세밀한 의견을 위해 모달과 부정의 사용 방법을 가르칩니다.

It would certainly require careful implementation and regional adjustments.

Using conditional 'would' for hypothetical situations, and 'certainly' for emphasis. Helpful for discussing policy challenges, showing how to express requirements with adjectives like 'careful'.

가정 상황에 대한 조건법 'would'와 강조를 위한 'certainly'를 사용합니다. 정책 도전 과제를 논의하는 데 유용하며, 'careful' 같은 형용사를 사용해 요구 사항을 표현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Without solid data, implementing such a sweeping change would be a huge gamble.

This warns of risks with 'without... would be', using metaphor 'huge gamble' for uncertainty. Ideal for concluding debates, teaching conditional structures and idiomatic expressions for emphasis.

이는 'without... would be'로 위험을 경고하며, 불확실성을 나타내기 위해 'huge gamble' 비유를 사용한다. 토론을 마무지하는 데 이상적이며, 조건문 구조와 강조를 위한 관용 표현을 가르치는 데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