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으로 돌아가기

Collaborative Brainstorming Session

협업 브레인스토밍 세션

Academics from different backgrounds or disciplines convene to brainstorm ideas for a new research project, grant proposal, or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서로 다른 배경이나 학문 분야의 학자들이 모여 새로운 연구 프로젝트, 보조금 제안, 또는 학제 간 협력을 위한 아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한다.

대화

대화를 듣고 따라가세요

1
Dr. Lee (Psychologist) (Female)
Alright everyone, thanks for joining this brainstorming session. As you know, we're here to hash out some initial ideas for an interdisciplinary grant proposal focusing on urban resilience.
자, 여러분, 이 브레인스토밍 세션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시다시피, 우리는 도시 회복력에 초점을 맞춘 학제간 연구 보조금 제안의 초기 아이디어를 세부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여기에 있습니다.
2
Dr. Chen (Sociologist) (Male)
I've been thinking a lot about the social cohesion aspect. How can we quantify or effectively measure the resilience of community ties in the face of environmental or economic shocks?
사회적 결속력 측면에 대해 많이 생각해 왔습니다. 환경적 또는 경제적 충격에 직면한 상황에서 커뮤니티 유대의 회복력을 어떻게 정량화하거나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까요?
3
Dr. Sharma (Urban Planner) (Female)
That's a great point, Dr. Chen. From an urban planning perspective, we could look at infrastructure adaptability – not just physical structures, but also digital networks. Maybe we could tie in how resilient a city's smart infrastructure actually is during a crisis.
좋은 지적이네요, 첸 박사님. 도시 계획 관점에서 인프라의 적응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물리적 구조뿐만 아니라 디지털 네트워크도요. 아마도 도시의 스마트 인프라가 위기 시 실제로 얼마나 탄력적인지 연결할 수 있을 거예요.
4
Dr. Lee (Psychologist) (Female)
Interesting. So, Dr. Chen, your focus is on the human element, and Dr. Sharma, you're looking at the built environment and technology. How do we bridge those? Perhaps a study on how digital access impacts psychological well-being during urban disruptions?
흥미롭네요. 그래서, 천 박사님, 당신의 초점은 인간 요소에 있고, 샤르마 박사님은 건축 환경과 기술을 보고 계시네요. 그것들을 어떻게 연결할까요? 도시 중단 기간 동안 디지털 접근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어떨까요?
5
Dr. Kim (Environmental Scientist) (Male)
If we're talking about urban disruptions, we must consider climate change impacts. My initial thought was focusing on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mega-cities, specifically how resilient their systems are to extreme weather events and prolonged droughts.
만약 우리가 도시 중단에 대해 이야기한다면, 기후 변화의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제 초기 생각은 메가시티의 수자원 관리에 집중하는 것이었으며, 특히 그들의 시스템이 극한 날씨 사건과 장기 건조에 얼마나 탄력적인지에 관한 것입니다.
6
Dr. Chen (Sociologist) (Male)
Dr. Kim, what if we pair your climate resilience angle with our community cohesion? For example, how do communities with robust social networks better adapt to water scarcity or heatwaves compared to those with weaker ties?
김 박사님, 당신의 기후 회복력 관점을 우리의 커뮤니티 결속력과 결합한다면 어떨까요? 예를 들어, 강력한 사회적 네트워크를 가진 커뮤니티는 물 부족이나 폭염에 약한 연결을 가진 커뮤니티에 비해 어떻게 더 잘 적응하나요?
7
Dr. Sharma (Urban Planner) (Female)
That's a fantastic synergy! And from an urban planning perspective, we could analyze how infrastructure, like decentralized water systems or green spaces, facilitate that community adaptation. We could even look at policy frameworks that support this.
그건 환상적인 시너지예요! 도시 계획 관점에서, 분산형 수도 시스템이나 녹지 같은 인프라가 커뮤니티 적응을 어떻게 촉진하는지 분석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이를 지원하는 정책 프레임워크도 살펴볼 수 있어요.
8
Dr. Lee (Psychologist) (Female)
Now we're really getting somewhere! So, a project on 'Socio-environmental Resilience in Urban Megacities: Bridging Community Capital, Infrastructure Adaptability, and Climate Response.' We'd be looking at interdependencies. This definitely has the potential for a strong grant proposal.
이제 정말로 진척이 있습니다! 그래서, '도시 메가시티의 사회-환경 회복력: 커뮤니티 자본, 인프라 적응성, 기후 대응의 연결'에 대한 프로젝트입니다. 상호 의존성을 살펴볼 것입니다. 이것은 확실히 강력한 보조금 제안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9
Dr. Kim (Environmental Scientist) (Male)
I agree. The interdisciplinary nature is clear, and the societal impact would be significant. I think we have a solid working title and a clear direction for the next steps.
동의합니다. 학제 간 성격이 명확하며, 사회적 영향이 상당할 것입니다. 우리는 튼튼한 작업 제목과 다음 단계에 대한 명확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10
Dr. Lee (Psychologist) (Female)
Excellent. Let's schedule a follow-up to refine our objectives and methodology. Thank you all for a very productive session!
훌륭합니다. 우리의 목표와 방법론을 다듬기 위한 후속 회의를 스케줄링합시다. 매우 생산적인 세션에 대해 모두 감사합니다!

어휘

대화에 나오는 필수 단어 및 구문

brainstorming session

A meeting where people come together to generate and discuss new ideas creatively. Use this in professional settings like team meetings to start idea-sharing.

사람들이 모여 창의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논의하는 회의. 팀 미팅 같은 전문적인 환경에서 아이디어 공유를 시작하기 위해 사용하세요.

interdisciplinary

Involving different academic fields or subjects working together. It's useful in research or projects that combine expertise from various areas.

다양한 학문 분야나 주제가 함께 작동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다양한 영역의 전문 지식을 결합하는 연구나 프로젝트에 유용합니다.

resilience

The ability to recover quickly from difficulties or shocks. In academic discussions, it often refers to how systems or communities handle challenges like disasters.

어려움이나 충격에서 빠르게 회복하는 능력. 학술 논의에서는 종종 재난 같은 도전을 시스템이나 커뮤니티가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가리킵니다.

social cohesion

The bonds and unity that hold a community together. This term is practical for talking about society, community strength, or group dynamics.

커뮤니티를 함께 묶어주는 유대와 단결. 이 용어는 사회, 커뮤니티의 강도, 또는 그룹 역학에 대해 이야기할 때 실용적입니다.

quantify

To measure or express something in numbers. Use it when discussing research methods to show how to make abstract ideas concrete.

무언가를 숫자로 측정하거나 표현하는 것. 연구 방법을 논의할 때 사용하며,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infrastructure

The basic physical and organizational structures needed for a society, like roads, water systems, or networks. Common in urban planning or development talks.

사회에 필요한 기본적인 물리적 및 조직적 구조, 예를 들어 도로, 수돗물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도시 계획이나 개발 논의에서 흔함.

synergy

The combined effect of elements working together that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ir parts. Useful in collaborative settings to describe positive teamwork.

요소들이 함께 작용하여 그 부분들의 합보다 더 큰 결합 효과. 협력적인 환경에서 긍정적인 팀워크를 묘사하는 데 유용합니다.

grant proposal

A formal document requesting funding for a project. It's key in academic or research contexts when applying for money to support studies.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을 요청하는 공식 문서. 학술 또는 연구 맥락에서 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자금을 신청할 때 핵심적입니다.

핵심 문장

기억하고 연습해야 할 중요한 구문

Alright everyone, thanks for joining this brainstorming session.

This is a polite way to start a meeting, acknowledging participants and setting the purpose. Use it to open group discussions; the word 'alright' makes it casual and friendly.

이것은 회의를 시작하는 예의 바른 방법으로, 참가자를 인정하고 목적을 설정합니다. 그룹 토론을 시작하는 데 사용하세요. 'alright'라는 단어가 캐주얼하고 친근하게 만듭니다.

I've been thinking a lot about the social cohesion aspect.

This expresses personal reflection on a topic. It's useful for introducing your ideas in discussions; the present perfect 'I've been thinking' shows ongoing thought.

이것은 주제에 대한 개인적인 성찰을 표현합니다. 토론에서 아이디어를 소개하는 데 유용합니다. 현재완료 'I've been thinking'은 지속적인 생각을 보여줍니다.

That's a great point.

A simple agreement phrase to acknowledge someone's idea positively. Use it in debates or meetings to show respect and encourage more input; it's concise and professional.

누군가의 아이디어를 긍정적으로 인정하는 간단한 동의 표현. 토론이나 회의에서 존중을 나타내고 더 많은 입력을 장려하기 위해 사용하세요; 간결하고 전문적입니다.

How can we quantify or effectively measure...?

This is a question pattern for suggesting research methods. It's practical for academic talks; 'how can we' invites collaboration, and it focuses on practical measurement.

이것은 연구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질문 패턴입니다. 학술 토크에 실용적입니다; '우리는 어떻게'는 협력을 유도하고, 실용적인 측정에 초점을 맞춥니다.

How do we bridge those?

This asks how to connect different ideas or elements. Use in interdisciplinary discussions; 'bridge' is a metaphor for linking concepts, common in proposal planning.

이것은 서로 다른 아이디어나 요소를 어떻게 연결할지를 묻는 것입니다. 학제 간 토론에서 사용하세요. 'bridge'는 개념을 연결하는 비유로, 제안 계획에서 흔히 쓰입니다.

That's a fantastic synergy!

Expresses excitement about combined ideas working well together. Useful for positive feedback in team settings; 'that's' is informal contraction of 'that is'.

결합된 아이디어가 잘 어우러지는 것에 대한 흥분을 표현합니다. 팀 환경에서 긍정적인 피드백으로 유용합니다; 'that's'는 'that is'의 비공식적인 축약형입니다.

Now we're really getting somewhere!

This shows progress in a discussion. Use it to motivate the group when ideas start connecting; the present continuous 'we're getting' emphasizes ongoing advancement.

이것은 토론의 진전을 보여줍니다. 아이디어가 연결되기 시작할 때 그룹을 동기부여하기 위해 사용하세요. 현재 진행형 'we're getting'은 지속적인 발전을 강조합니다.

I agree. The interdisciplinary nature is clear...

A straightforward way to agree and summarize. Practical for closing points in meetings; simple structure with subject-verb agreement highlights key aspects.

동의하고 요약하는 간단한 방법. 회의에서 포인트를 마무지짓는 데 실용적; 주어-동사 일치의 간단한 구조가 주요 측면을 강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