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으로 돌아가기

Preparing for Publication/Conference

출판/회의 준비

Researchers discuss the best way to structure their findings, methods, and conclusions for a scientific paper or conference presentation, focusing on clarity, impact, and adherence to academic standards.

연구자들은 과학 논문이나 컨퍼런스 발표를 위해 발견, 방법, 결론을 가장 잘 구조화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며, 명확성, 영향력, 학술 표준 준수에 초점을 맞춥니다.

대화

대화를 듣고 따라가세요

1
Lead Researcher (Male)
Alright team, with the data analysis wrapped up, we need to really focus on how we're presenting these findings. For the journal submission, clarity and impact are key.
좋아, 팀, 데이터 분석이 마무리되었으니, 이 발견들을 어떻게 제시할지에 정말 집중해야 해. 저널 제출을 위해서는 명확성과 영향력이 핵심이야.
2
Junior Researcher (Female)
I agree. I've been sketching out some ideas for the methodology section. Should we go into extensive detail on the statistical packages used, or keep it more concise and refer to supplementary material?
동의합니다. 방법론 섹션에 대한 몇 가지 아이디어를 스케치해 왔습니다. 사용된 통계 패키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할지, 아니면 더 간결하게 유지하고 보충 자료를 참조할지 어떻게 할까요?
3
Lead Researcher (Male)
Good question, Ava. For the main paper, let's keep the methodology concise but comprehensive enough for replication. The nitty-gritty details can certainly go into an appendix or supplementary online material. We want to avoid overwhelming the reader.
좋은 질문이네요, 에이바. 본문에서는 방법론을 간결하게 유지하되, 재현 가능성을 위해 충분히 포괄적으로 하자. 세부적인 사항들은 부록이나 온라인 보충 자료에 넣을 수 있어요. 독자를 압도하지 않도록 하자.
4
Collaborator (Female)
And for the results section, how do we best highlight the most significant findings without burying them in raw data? Maybe a combination of well-designed figures and succinct narrative?
그리고 결과 섹션에서는 가장 중요한 발견을 어떻게 가장 잘 강조할 수 있을까요, 원시 데이터에 묻히지 않게 하면서? 잘 설계된 도표와 간결한 서술의 조합은 어떨까요?
5
Lead Researcher (Male)
Absolutely, Emma. Visualizations are crucial. Let's aim for figures that are self-explanatory and tell a clear story. The narrative should then elaborate on the implications of those figures, connecting back to our hypotheses.
물론이죠, 엠마. 시각화는 매우 중요합니다. 자기 설명적이고 명확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도표를 목표로 합시다. 서술 부분은 그 도표의 함의를 자세히 설명하고 우리의 가설과 연결해야 합니다.
6
Junior Researcher (Female)
Speaking of hypotheses, should we explicitly restate each one in the discussion section and then address it with our findings? It might make the argument clearer.
가설에 대해 말하자면, 논의 섹션에서 각 가설을 명시적으로 재진술하고 우리의 발견으로 그것을 다뤄야 할까요? 그것이 논증을 더 명확하게 만들 수 있을 겁니다.
7
Lead Researcher (Male)
That's a good approach, Ava. It demonstrates thoroughness and directly links your results back to the original research questions. It also helps with the flow of the discussion, moving from data to interpretation.
좋은 접근 방식이네요, 아바. 그것은 철저함을 보여주고, 당신의 결과를 원래 연구 질문에 직접 연결합니다. 또한 토론의 흐름을 돕고, 데이터에서 해석으로 이동합니다.
8
Collaborator (Female)
And for the conference presentation, we'll need to distill this even further. Maybe a focus on just the top three most impactful findings and how they contribute to the field?
그리고 컨퍼런스 발표를 위해서는 이것을 더 압축해야 할 거예요. 가장 영향력 있는 상위 세 가지 발견과 그것들이 해당 분야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건 어떨까요?
9
Lead Researcher (Male)
Exactly, Emma. The conference talk is about sparking interest and conveying the core message quickly. Less detail, more high-level takeaways. We can save the deeper dive for the Q&A session or direct follow-ups.
맞아, 엠마. 컨퍼런스 발표는 관심을 자아내고 핵심 메시지를 빠르게 전달하는 데 관한 거야. 세부 사항은 적게, 고급 takeaways는 많이. 더 깊은 탐구는 Q&A 세션이나 직접 후속 조치에 남겨두자.

어휘

대화에 나오는 필수 단어 및 구문

wrapped up

This phrase means to finish or complete something, like a task. It's commonly used in professional settings to indicate that a stage of work is done.

이 표현은 작업 같은 것을 마무지거나 완료한다는 의미입니다. 작업의 한 단계를 완료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전문적인 환경에서 흔히 사용됩니다.

clarity

Clarity means being clear and easy to understand. In writing or speaking, especially in research, it helps readers follow your ideas without confusion.

명확성은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것을 의미합니다. 글쓰기나 말하기에서, 특히 연구에서, 그것은 독자들이 혼란 없이 당신의 아이디어를 따라갈 수 있게 도와줍니다.

impact

Impact refers to the strong effect or influence something has. In scientific papers, it means making your findings memorable and important to the audience.

영향은 무언가가 미치는 강력한 효과나 영향력을 의미합니다. 과학 논문에서는 발견을 청중에게 기억에 남고 중요한 것으로 만드는 것을 뜻합니다.

methodology

Methodology is the section of a research paper that describes the methods and processes used in the study. It's key for showing how the research was done reliably.

방법론은 연구 논문의 섹션으로, 연구에 사용된 방법과 프로세스를 설명합니다. 연구가 신뢰성 있게 수행되었음을 보여주는 데 핵심적입니다.

concise

Concise means expressing ideas briefly without unnecessary words. It's useful in academic writing to keep readers engaged without overwhelming them.

간결함은 불필요한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아이디어를 간략하게 표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학술 글쓰기에서 독자를 압도하지 않으면서 관심을 유지하는 데 유용합니다.

replication

Replication means the ability to repeat an experiment or study to verify results. In science, it's important for ensuring findings are trustworthy.

재현은 실험이나 연구를 반복하여 결과를 검증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과학에서 발견 결과가 신뢰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데 중요합니다.

visualizations

Visualizations are charts, graphs, or images that represent data visually. They help explain complex information clearly in presentations or papers.

시각화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차트, 그래프 또는 이미지입니다. 프레젠테이션이나 논문에서 복잡한 정보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hypotheses

Hypotheses are educated guesses or predictions tested in research. In discussions, they connect back to what you expected to find.

가설은 연구에서 검증되는 교육받은 추측 또는 예측입니다. 논의에서 그것들은 당신이 발견할 것으로 예상했던 것에 다시 연결됩니다.

핵심 문장

기억하고 연습해야 할 중요한 구문

For the journal submission, clarity and impact are key.

This sentence uses 'are key' to mean 'are the most important.' It's useful for emphasizing priorities in professional discussions, like in writing or presentations. Grammar: Simple present tense for general truths.

이 문장은 'are key' 를 '가장 중요하다' 는 의미로 사용합니다. 글쓰기나 프레젠테이션 같은 전문 토론에서 우선순위를 강조하는 데 유용합니다. 문법: 일반적인 진리를 위한 단순 현재 시제.

Should we go into extensive detail on the statistical packages used, or keep it more concise and refer to supplementary material?

This is a yes/no question with alternatives using 'or.' It's practical for suggesting options in team meetings. It shows polite decision-making. Grammar: Question form with modal 'should' for advice.

이것은 'or'를 사용한 대안을 포함한 예/아니오 질문입니다. 팀 미팅에서 옵션을 제안하는 데 실용적입니다. 예의 바른 의사 결정을 보여줍니다. 문법: 조언을 위한 모달 'should'를 사용한 질문 형식.

Let's keep the methodology concise but comprehensive enough for replication.

This uses 'concise but comprehensive' to balance brevity and completeness. Useful in academic contexts to describe writing style. Grammar: Imperative 'let's' for suggestions in group settings.

이것은 '간결하지만 포괄적'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간결함과 완전성을 균형 있게 합니다. 학술적 맥락에서 글쓰기 스타일을 설명하는 데 유용합니다. 문법: 그룹 설정에서 제안을 위한 명령형 'let's'.

We want to avoid overwhelming the reader.

This expresses a goal with 'want to avoid' for preventing something negative. Common in advice on communication to keep content reader-friendly. Grammar: Infinitive after 'want' for purpose.

이는 'want to avoid'를 사용하여 부정적인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표를 표현합니다. 내용이 독자에게 친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커뮤니케이션 조언에서 흔합니다. 문법: 목적을 위해 'want' 뒤에 부정사.

Visualizations are crucial.

This short sentence states importance with 'are crucial,' meaning 'very important.' It's direct and useful for highlighting elements in presentations. Grammar: Present simple for facts.

이 짧은 문장은 'are crucial'로 중요성을 나타내며, '매우 중요'이라는 의미입니다. 직접적이고 프레젠테이션에서 요소를 강조하는 데 유용합니다. 문법: 사실을 나타내는 현재 단순형.

It demonstrates thoroughness and directly links your results back to the original research questions.

This explains benefits using 'demonstrates' and 'links...back to.' Helpful for discussing structure in reports. Grammar: Present simple for general explanation; relative clause for detail.

이는 'demonstrates'와 'links...back to.'를 사용하여 이점을 설명합니다. 보고서 구조를 논의하는 데 유용합니다. 문법: 일반 설명을 위한 현재 단순형; 세부 사항을 위한 관계절.

The conference talk is about sparking interest and conveying the core message quickly.

This uses 'is about' to describe purpose, with gerunds 'sparking' and 'conveying.' Useful for summarizing goals in talks. Grammar: Infinitive-like structure after 'about' for explanation.

이것은 목적을 설명하기 위해 'is about'을 사용하며, 동명사 'sparking'과 'conveying'을 사용합니다. 토크에서 목표를 요약하는 데 유용합니다. 문법: 설명을 위한 'about' 뒤의 부정사 같은 구조.